han098 2023. 5. 30. 21:25
반응형

인캡슐레이션고 디캡슐레이션

상위 계층에서 하위 계층으로 데이터를 보내면 물리 계층에서 전기 신호 형태로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를 보냅니다. 이 과정을 인캡슐레이션이라 합니다.

보낸 신호를 받는 쪽에서 다시 하위 계층에서 상위 계층으로 데이터를 보냅니다. 이 과정을 디캡슐레이션이라 합니다.

헤더 정보

현재 계층에서 정의하는 정보

각 계층에서 목적에 맞는 정보들이 들어간다.

3계층 출발지와 도착지의 IP주소를 헤더에

2계층 출발지와 도착지의 MAC 주소를 헤더에

각 계층은 자신의 헤더에 들어있는 주소가 맞지 않으면 드롭을 한다.

2계층만의 L2F

2계층은 후미에 L2F라는 알고리즘 정보를 추가하는데 1계층의 전기 신호가 제대로 전달 됬는지를 파악하는 역활은 한다. 전기신호는 주변 환경에 의해 파장이 약해지는등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추가 검증을 한다. 

 

ex) 

A - ⓧ(x) - ⓧ(y) - ⓧ(z) - B 

A에서 B로 데이터를 보낸다고 할때 각 S.D IP, S.D MAC은 어떻게 되는가? (ⓧ는 라우터이다.)

출발 IP A A A A
도착 IP B B B B
출발 MAC A X Y Z
도착 MAC X Y Z B

IP는 변하지 않는 출발지와 목적지를 가지게 되고

MAC은 자신이 속한 LAN상에서 최종 목적지로 보내기 위한 라우터를 향해 도착 주소가 변경이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