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미래기술학교 클라우드
브릿지 모드 & NAT 모드
han098
2023. 6. 9. 22:53
반응형
NAT?
Network Address Translation 네트워크 주소 변환을 의미한다.
사설 IP 주소는 외부(LAN 밖 인터넷)와 통신을 할 수 없다. 외부와 통신 할 수 있는 IP 주소는 공인 IP 주소 뿐이다.
-> 사설 IP 주소를 외부에서 쓰기 위해 사설 IP와 공인 IP 주소를 변환 해주는 역활을 NAT가 해준다.
사설 IP 주소를 통해 외부로 패킷을 보내게 되면 NAT가 사설 IP 주소를 공인 IP 주소로 변환해 패킷을 내보낸다.
반대로 외부에서 들어오는 정보도 NAT가 어떤 사설 IP에게 들어온 패킷인지 판단해 해당 사설 IP 주소로 보낸다.
NAT는 장비가 아니라 프로그램이다. -> NAT 기능을 포함 한것.
버추얼 박스에서는?
설치되어 있는 호스트 PC가 공유기 역활을 하여 가상머신에 IP 주소를 할당 하는 방식
ssh, putty등 외부에서 접속이 필요한 경우 포트포워딩을 해줘야 한다.
Bridged ?
호스트의 네트워크와 게스트의 네트워크를 연결(브릿지)하여 게스트가 네트워킹 하는 방식
-> 호스트와 게스트를 연결해 하나의 네트워크 처럼 쓰는 것
버추얼 박스에서는?
실제 공유기로부터 가상머신에 IP 주소를 할당받기 때문에 호스트 PC와 동일한 네트워크 대역의 IP 주소를 받는다.
가상 머신이 서버역활을 하는 경우 NAT는 서버로서의 역활을 해주지 못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설정이 NAT로 설정이 되어있는 가상머신은 외부에서 접속이 불가능하다.
NAT보다 Bridged가 더 간편하고 설정이 적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