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098 2023. 6. 12. 20:44
반응형

이중화?

물리적인 장비, 연결 케이블, 네트워크 시스템등을 예비로 2개 이상 운영하여 문제가 생겨도 통신이 지속되게 하려는 장애 대비

WHY?

고 가용성을 위해 -> 서버, 네트워크가 오랜 기간 지속적으로 정상 운영이 가능하게 하는 것

이중화를 바라보는 관점

이중화는 redundancy 즉 중복성으로 예비, 대비의 뜻이 아닌 중복, 복제 라는 뜻이다. 이는 불필요한 추가를 했다는 말이다.

가장 이상적인것은 관리자가 일부러 끄지 않는한 서비스가 멈춰서는 안되는게 운영의 기본이다. 실제로 이중화한 대비책이 작동이 되게 되면 매우 큰 문제이다. -> 보험이라 생각하지 말고 문제가 없게 처음부터 생각을 하자.

이중화로 생기는 문제점

Broadcast Storm : 브로드캐스트가 목적지에 전달 되지 않고 이중화망 내부에서 무한이 LOOP하는 경우 -> 2계층에서는 TTL이 없다.

MAC 주소 테이블 불안정 : 동일한 출발지 MAC 주소를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 -> MAC 테이블이 수시로 변경되는 불안정 발생

이중 프레임 수신 : 동일한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을 여러 개 수신한다.

STP?

Spanning Tree Protocol 스위치에서 이더넷 프레임이 LOOP를 방지해주는 프로토콜이다.

논리적으로 스위치 연결 포트 중 하나를 막아 연결을 차단한다. -> 어떤 포트를 막을지는 프로토콜이 결정한다.

물리적으로 막은것이 아니어서 작동 포트중 하나가 다운이 되면 차단 포트를 대신 사용해 통신을 유지시킨다.

동작 방식?

1. 전체 스위치 중 Root 스위치를 선출 한다. -> 선출은 프로토콜이 정하지만 mac id가 낮은 스위치가 root가 된다.

  -> show spanning-tree로 확인이 가능하고 Root는 표시가 된다.

2. Root 이외 스위치에서 Root POR를 한개씩 선출 한다.

  -> 경로의 합이 가장 적은 port, 인접 스위치의 Bridge ID가 가장 낮은 port, 인접 스위치의 port ID가 가장 낮은 port

3. 각 스위치 segment - (스위치 사이 경로) 당 지정port 한개씩 선출한다. Desingnated Port

4. Root, Desingnated도 아닌 Alternate Port를 선출한다. 이 Port는 항상 차단이 된다.

STP를 알아야 하는 이유?

cloud 환경에서는 STP를 실제로 사용하고 고민할 이유는 적다고 한다. -> 프로토콜이 자동으로 하기 때문에

하지만 Alte 포트를 움직여야 할때가 존재해서 알아야 한다.

'프로토콜이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지 못했을 때' 퍼포먼스 향상을 위해 설정 할 수 있어야 한다.

운이 나쁘게 막는 포트에 사용자가 할당 될때가 있을 수 있다고 한다.

 

https://net-study.club/entry/%EC%8A%A4%ED%8C%A8%EB%8B%9D-%ED%8A%B8%EB%A6%AC-%ED%94%84%EB%A1%9C%ED%86%A0%EC%BD%9CSTP-Spanning-Tree-Protocol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