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ng 통신이 어떻게 되는가?
실습 목적
핑 통신에서 타임아웃으로 실패하는 이유와 성공하는 과정을 이해한다.
실습 과정
라우팅은 static 라우팅 next hop으로 한다.
1. 통신시 통신 대상과 자신의 네트워크가 같은지 파악을 한다. = A,B 네트워크가 달라서 ICMP 생성 안됨
2. A에서 R1으로 ARP (브로드 캐스트)통신
A는 다른 Network와 소통하려면 R1과 통신되어야 하는데 R1의 MAC 주소를 알지못한다.
3. A -> SW 일때 SW는 A MAC을 학습하고 R1으로 플루딩 한다.
ICMP가 R1에서 버려지는데 R1 라우팅 테이블에 B의 정보가 있지만 버려졌다.
R2로 가능 방향을 정했지만 R2의 MAC 주소가 없어서 더이상 전송이 되지 않아 ICMP를 버리며(응답을 주지 않게 되어 Request timed out) R2의 MAC을 알기 위한 ARP를 생성한다. -> 이때 ISCP가 버려지며 ARP가 생성이 된다.
A에서 2번쨰 ICMP를 만들어 시작한다.
R2까지는 무사히 간다.
R2에서는 B의 MAC 주소를 모르기에 ISCP가 버려지며 B로 ARP로 보낸다. -> 이때 Request timed out이 된다.
이 후 3 번째 ISCP부터 통신이 된다.
라우팅이 다이나믹으로 변경되면?
동적 라우팅이 서로의 정보를 교환하기에 미리 ARP를 통해서 MAC 주소를 알게된다. -> EndPoint에서의 ARP 부분만 실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