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 28 23.07.03 월
nslookup
name server 관련 조회 할 수 있는 명령어
set type= [option] 명령어를 통해서 여러가지 정보를 볼 수 있다.
any : 해당 도메인의 모든 정보
MX : Mail 서버 정보
NS : Name Server를 보여준다.
DP (Discovery Protocol)
어떤 네트워크에 진입 혹은 새 장비가 추가될 때 주변 장비의 구성 상황을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는 프로토콜
벤더사 별로 존재한다.
Neighbor Discovery 인접 장비가 어떤 것이 있는가를 파악하는 프로토콜 - 라우터 탐색, 프리픽스 탐색, 파라미터 탐색등
라우터 탐색 : Hello Protocol, 라우팅 광고
호스트/라우터 간 탐색 : RDP, NDP
링크계층 장비 간 탐색 : CDP, LLDP
http://www.ktword.co.kr/test/view/view.php?m_temp1=2205
Daemon
Linux 시스템이 처음 가동될 때 실행되는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의 일종으로 메모리에 상주하면서 특정 요청이 오면 즉시 대응 할 수 있도록 대기중인 프로세스
데몬 프로그램의 명령어는 'd'로 끝난다. (ex vsftpd, dhcpd)
데몬 실행 방법
1. standalone : 독립적으로 수행되며 서비스 요청에 응답하기 위해 항시 메모리에 상주하는 데
2. super deamon : inted type으로 inted라는 특별한 데몬에 의해 간접적으로 실행되는 데몬이다. 보안 이슈로 xinted로 수정되었으며 inted에 요청이 들어오면 inted는 해당 데몬을 메모리에 올리고 요청을 처리하게 된다.
https://valuefactory.tistory.com/229
FTP(File Transfer Protocol)
active :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접속하는
passive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하는
연결 방식에 따른 주의사항
active : 클라이언트의 방화벽에 20번 포트가 차단되어 있으면 데이터 채널 연결이 불가능 = 실패
-> 클라이언트가 보안이 취약해짐
passive : 서버의 포트가 막혀있는 경우 연결 불가능 = 실패
-> 서버가 보안이 취약해짐
https://madplay.github.io/post/ftp-active-passive
Link aggregation
여러개의 물리적 포트들을 묶어서 하나의 논리적인 포트로 동작하게 만드는 기술 = 가상의 인터페이스를 만든다.
주로 스위치에서 사용하는 기술로 포트를 묶어 고속으로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고가용성을 위해 사용이된다.
선제 조건 : Duplex Mode, 같은 속도
구성 방법
수동 : 관리자가 직접 링크별로 그룹핑하여 설정
자동 : LACP 혹은 벤더사의 프로토콜을 사용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