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P 실습 가이드
실습 목표
STP를 확인, 설정을 통해서 STP 과정을 확인하자
Link aggregation을 통해 이중화를 알아보자
주요 이론
STP (Spanning Tree Protocol)
Ethernet Frame 장비들에서 패킷이 빙빙 도는것을 Looping이라고 한다. Looping을 방지하는 프로토콜이다.
Looping은 통신이 되지 않게 한다. = broadcasting storm, ARP 오류
Loop 구조인 네트워크에서 특정 Port를 차단 상태로 바꾸어 논리적으로 Loop가 발생하지 않게 한다.
차단되는 Port는 자동으로 선발되어 차단이 된다. -> 명령어를 통해 차단 포트를 선정이 가능하다.
Root를 변경해 특정 스위치로 향하게 방향을 설정 할 수 있다.
SW(config) # spanning-tree vlan [number] priority [0 ~ 4096] -> 4096 기준으로 설정해야 한다.
Link aggregation
https://leehan098.tistory.com/176
기본 IP 설정과 구성은 넘어간다.
2계층 스위치는 vlan 11, 12를 만드는 것을 잊지말자.
L3 스위치에서는 SVI로 IP를 만들어준다.
스위치들 사이의 sw 모드는 trunk가 되어야 한다. -> access로 설정하게 되면 하나라도 케이블이 통신이 되지 않으면 다른 케이블을 통해서 통신이 되지 않기 때문에 trunk로 설정을 해야 한다.
DSW에서 스위치들에게 trunk로 설정해야 하는데
sw m t가 먹히지 않는다. 이미 ip routing, no sw를 적용했기에 sw t en dot1q를 통해 인캡슐레이션을 먼저 적용해야 trunk모드로 변경이 된다.
STP Root를 바꿔야 한다. – STP의 Root가 DSW1에 해당되게 바꿔야한다.
DSW은 L3 스위치로 외부와 통신이 되어야하기에 Root로 모든 구멍이 막히면 안된다.
spanning vlan [번호] proority [0 ~ 61440] 4096를 기준으로 바꿔야 한다. 0은 가장 마지막이어서 아껴둬야 한다.
SVI의 IP를 게이트웨이로 설정했는데 SVI가 가상의 인터페이스이지만 가상이라고 생각은 사람이 하는거지 컴퓨터는 가상으로 인식하지 않기 때문에 게이트웨이로 설정이 가능하다.
케이블이 문제가 되면 STP를 통해 통신에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L3 스위치가 먹통이 되면 통신이 되지 않는다 -> 이중화 하지 않았나?
안되는 이유는 게이트웨이주소가 없어지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서로의 게이트웨이 IP를 넣으면 IP가 겹쳐서 문제가 되고 다른 IP를 넣으면 PC들의 게이트웨이를 바꿔야 되는 문제가 생긴다.
해결방법은 이중화 게이트웨이 프로토콜이라는 방법이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