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n098 2023. 7. 10. 21:34
반응형

Docker를 배우는데 혼자 공부했을 때에 비해 안되고 놓친 부분을 정리해 본다.

1. 컨테이네에 ubuntu, cento등 리눅스 OS를 설치 할 경우 진정한 깡통이 깔리기에 ping등 파일로 돌아가는 기능이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2. run은 모든것을 해결해 주지 않는다. run의 -dit도 중요하지만 command에 들어가는 부분이 중요하다. 

command? 컨테이너 이미지 안에 있는 명령어를 실행한다는 추가 옵션

/bin/bash = 해당 컨테이너 터미널에 접속

-it, -d도 command도 없을 경우 컨테이너를 만들고 끝이 나게 된다. 

-d는 상황에 맡게 써야한다. 백그라운드 실행인데 command와 잘못 섞어 사용할 시에 백그라운드에서 command를 실행 후 컨테이너가 종료되게 된다.

$ docker run -it ubuntu:focal /bin/sh -c 'git --version'

/bin/sh -c '실행할 우분투 명령어'

docker run -it --add-host db-static:86.75.30.9 ubuntu cat /etc/hosts

172.17.0.22     09d03f76bf2c
fe00::0         ip6-localnet
ff00::0         ip6-mcastprefix
ff02::1         ip6-allnodes
ff02::2         ip6-allrouters
127.0.0.1       localhost
::1	            localhost ip6-localhost ip6-loopback
86.75.30.9      db-static

run에서 컨테이너는 생성되지만 실행이 안되는 상황이 많이 발생하는데 -it, -d, 프롬프트의 유무를 확인해야 한다.

 

https://watch-n-learn.tistory.com/28

 

[Docker Basic] 14. Docker 중요 명령어 - docker container run

docker container run 명령 개요 docker container run 구문은 도커에서 가장 중요하고 기능이 많아서, 따로 한 페이지로 떼어 두었다. 사실상 가장 핵심적인 내용이다. 이 run 명령어는 pull, create, start 3가지

watch-n-learn.tistory.com

https://www.44bits.io/ko/post/how-docker-image-work

 

만들면서 이해하는 도커(Docker) 이미지: 도커 이미지 빌드 원리와 OverlayFS

도커 이미지는 유니온 마운트 기술을 활용해 계층화된 레이어들로 구성되며, 도커 레지스트리를 사용해 쉽고 효율적인 공유를 가능하게 해줍니다. 이 글에서는 도커 이미지가 저장되는 방식과

www.44bits.io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