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 36 23.07.13 목
도커 컨테이너 백업 관련 실습
Docker 컨테이너를 이미지로 만드는 명령어로 commit이 있다. -> commit은 컨테이너가 정지 됬을 때만 가능하다.
Cloud5라는 컨테이너를 commitest:1.0 이라는 이미지로 만들었다.
만약 :버전을 비워두면 latest로 설정이 되어진다. -> :버전이 다르면 commit, push등 안되는 영역이 생기게된다.
이미지를 백업하는 방법은 docker hub, 다른 pc, localhost에 파일로 저장 3가지가 있다.
1. docker hub에 저장
hub에 저장하기 위해서는 우선 docker hub를 로그인해야한다.
Image를 그냥 push하려고 하면 넣어지지 않는다.
왜 안들어갈까? 그것은 tag 작업이 추가로 필요하기 때문이다.
tag? docker tag (기존 이미지:태그) (새로지을이름:태그) 명령어이다.
tag는 동일한 이미지를 다른 이름으로 저장한 것 뿐이다. 태그가 push에서 필요한 이유는 docker hub에 push 시킬 레포지토리 이름과 동일하게 명시해야 하기 때문이다.
로컬 네트워크안에서 scp를 통해서 저장할 수도 있다.
docker save <컨테이너 이름> <백업할 파일 이름.tar> -> 압축을 한다.
Scp <백업할 파일이름.tar> <도착지주소:/경로>
받은 쪽에서 Docker import <받은 파일.tar> <이미지 이름> 으로 이미지를 백업할 수 있다.
registry란 컨테이너를 이용해서 사설 레지스트리를 만들어 백업 할수 있다.
Docker Registry(도커 레지스트리)를 활용하여 사설 레지스트리 사용하기
Docker Hub와 같은 public docker registry를 사용하는 대신, 사내 전용 혹은 개인 용도로 Docker 사설 레지스트리를 설치하고자 할 때, Docker Registry를 사용하여 private registry를 설정해 보자. Docker Registry 설치
luran.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