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Facts

가상화 장치 (VM)은 소프트웨어마다 차이는 있지만 크게 3가지 네트워크 동작을 가진다.

NAT, Bridge, Host-Only를 가지며 각자의 차이점을 알고  있어야 알맞은 실습환경, 운영환경을 가진다.

ACL은 가장 기초적인 보안 설정이다. 원하는 것만 permit, deny를 하는 것으로 특정 패킷을 막는다.

네트워크 장비는 자신이 만들어내는 패킷은 자신이 만든 정책에 걸리지 않는다.

NAT는 IP주소를 변환하는 기술로 대표적으로 공인 IP와 사설 IP를 바꿔주는 역활을 한다. > 다른 상황에서도 쓰임

Feelings

가상 머신을 생성하며 가상의 switch, router가 만들어진다.

NAT는 이론은 간단한데 적용하기에 어렵다. > 보안의 기능도 포함되기에 ACL도 필요하다.

NAT로 변환된 IP에대해 다른 네트워크 장비들은 변환된 주소를 모르기에 수동 라우팅을 해줘야 한다.

ACL은 기본으로 deny any가 깔려있다.

Findings

isc-dhcp-server는 자신의 인터페이스가 포함된 IP 대역대가 설정에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ACL은 상황에 따라 extend, standard를 사용한다.

ACL로 telnet을 막을거면 line vty에서 가상의 인터페이스로 telnet만 standard로 막을 수 있다.

Futer

리눅스에서 설정시 example로 주는 주석들을 분석하자.

반응형

'경기도 미래기술학교 클라우드 > W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L 4주 23.06.12 ~ 16  (0) 2023.06.18
WIL 3주 23.06.05 ~09  (0) 2023.06.10
WIL 1주차 23.05.23 ~ 26  (0) 2023.05.27
반응형

Facts

통신은 MAC과 IP 주소가 필요한것을 패킷 트레이서를 통해 직접 확인해봤다.

IP만 알아서는  MAC을 모르기 때문에 ICMP가 생성되지 않고 MAC을 찾기 위한 ARP가 생성이된다.

게이트웨이가 없다면 ARP를 어디에 보내야 할지 모르게 된다.

Feelings

통신에는 분명한 결과와 절차가 있다는 것을 배웠다.

ARP하고 ICMP하고 무엇이 먼저인지 알게되었다.

STP, 동적 라우팅에는 시간이 걸린다.

Findings
사설 네트워크가 같은 대역대일 때는 NAT와 같은 추가 조치가 필요하다.

Futer
이제 인프런 네트워크 강의를 들을 준비가 된것 같으니 시작하자.

반응형

'경기도 미래기술학교 클라우드 > W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L 5주 23.06.19 ~ 23  (0) 2023.06.26
WIL 3주 23.06.05 ~09  (0) 2023.06.10
WIL 1주차 23.05.23 ~ 26  (0) 2023.05.27
반응형

Facts

VLAN을 통해 스위치에서 논리적으로 네트워크를 나눌 수 있다.

OSPF를 통해 동적 라우팅테이블을 만들고 테이블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축약과 Area, Stub을 활용한다.

논리적 구성도와 물리적 구성도의 그림이 달라진다.

가상화 장치를 통해 리눅스 설치를 해봤다.

Feelings

논리적 구성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구분하고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리눅스를 설치할 때 생각보다 시간이 걸린다.

Findings

서로다른 라우팅 테이블 프로토콜을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서로가 어떤 프로토콜인지 알 수 있게 재분배를 해야 한다.

네트워크 설정은 NAT, 브리지가 있는데 더 공부해야 된다.

Futer

NAT, 브릿지 공부하기

실기 공부 시작하기

네트워크 책 공부하기

반응형

'경기도 미래기술학교 클라우드 > W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L 5주 23.06.19 ~ 23  (0) 2023.06.26
WIL 4주 23.06.12 ~ 16  (0) 2023.06.18
WIL 1주차 23.05.23 ~ 26  (0) 2023.05.27
반응형

Facts

IP 주소를 읽는 법을 배웠다.

IP 주소를 상황에 맡게 나누는 서브넷팅을 배웠다.

SWOT 분석등으로 자신을 객관화 분석 후 자소서를 써야한다는 점을 배웠다.

Feelings

네트워크가 어떻게 동작이 되는지 모르는 상태로 IT업계를 참여하려고 한것이 얼마나 무식한것인지 느꼈다.

6개월간 코딩을 배웠지만 기본이 없이 기술만 배웠다는것을 느꼈다.

Findings

네트워크는 매개체를 통해 2개 이상의 컴퓨터들이 연결되어 공유하는 것이라는 것을 배웠다.

TCP의 신뢰성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전에 먼저 세션을 수립하는 과정이 있어서라는 이유를 알게되었다.

서브넷 마스크를 통해 NetID와 HostID를 읽을 수 있어야 한다.

  ex) 255.255.255.0 과 /24는 24개의 NetID 비트를 가진 IP주소이다.

Futer

네트워크 관련 추가적인 강의를 찾아서 들어보자 - 인프런에 사놨던 네트워크 강의를 들을 때가 됬다. (주말에)

정처기 공부를 하며 복습과 예습을 하자.

원리를 외우지 말고 이해하려고 하자.

반응형

'경기도 미래기술학교 클라우드 > W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L 5주 23.06.19 ~ 23  (0) 2023.06.26
WIL 4주 23.06.12 ~ 16  (0) 2023.06.18
WIL 3주 23.06.05 ~09  (0) 2023.06.1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