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4.09.03 ~ 24.09.25

한번쯤은 들을 필요가 있었다고 판단했고 부족한 기초를 채우기에 나쁘지 않다 생각하고 구매 후 완강했다.

깊은 내용을 이야기 해주지는 않고 알아가야하는 방향성을 알려주는 강의

 

일하면서 알아간 지식을 가볍게 정리하고 앞으로 공부해야 하는 방향을 알려주는 강의였다.

 

추후 필요한 공부 방향

1. OS - 가장 기초가 되는 부분으로 판단되어 학업 계획과 기록이 필요
2. 자료구조 - CS의 기초로 어디 적용한다기 보다 원리와 내용을 알아야 남이 하는 말을 알아들을수 있을듯

3. DB - SQL과 DB의 설정등을 알아야 할듯 결국 문제는 쿼리와 Connection Pool에서 발생하는듯

4. 네트워크 - 단순히 IP를 아는걸로 끝나는게 아닌 TCP, UDP를 이해해야 앞으로가 편해질듯 하다.

 

반응형
반응형

서버 엔지니어로 취업한지 9개월이 지나며....

업무 적성과 나에게 맞는게 무엇인지 고민하고 생각하는 순간을이 생겼고

배부른 소리일지 모르지만 나이 30을 향해가며 남은 내 인생을 다시 방향을 잡을 고민을 시작하게 되었다....

(두서 없는 시작)

 

다행히 IT 자체가 맞지 않는건 아닌거 같다.

최근 내 성향과 업무를 고민해보다 보니 나는 무언가 기획 + 만드는 일이 내 성향에 맞는것을 알게된것 같다.

 

지금도 신입 엔지니어로 공부하고 알아가야 하는게 많고 모르는게 많지만.... 앞으로 내 몸값을 올리기 위해서는

엔지니어 운영(리눅스 + 스크립트) + 백엔드 개발(언어) + 컨테이너 활용 능력(쿠버) 이렇게 3가지를 갖춰야 된다고 생각이 든다...

 

얼마 남지 않은 올해 남은 3개월 목표를 세우고 다시 공부를 체계적으로 시작해보자.

 

올해 목표

1. 리눅스 마스터 1급 따기 -> 이유 : 자격증을 위해가 아닌 리눅스 공부를 하면서 목표가 필요해서 이왕 공부하는김에 따는 자격증

2. 정처기 실기 -> 이유 : 필기 따놓은게 아까워서 실기를 합격하자....

3. 개발 공부 -> 이유 : 6개월 배운 개발을 놓기 아쉬우며 이후 개발자 신입 취업을 위해 공부를 시작해야 한다.

반응형
반응형

80분 달리기
생각보단 괜찮았음

반응형
반응형

간만에 올리는 대회준비

최근에는 존2로 뛰는데 집중하고 있다.
140근처로는 6:55가 평균치인듯 하다.

자세를 신경쓰면서 뛰는데 집중하자
다리가 무게중심보다 앞으로 찾지 됨
가슴이 너무 앞으로 쏠려서 무너지는 허리 엉덩이

반응형
반응형

이번에는 잘 달리지 못했다.

원래는 70분 목표였는데 46분때 왼쪽 무릎이 느낌이 안좋아서 멈췄다. (순간 자세가 무너진것 같음)

1. 엉덩이를 일자로 균형을 맞추려고 노력하자.

2. 평균 페이스가 늘고 있다. 조급해하지말고 꾸준히만 뛰자

 

반응형
반응형

6K 빌드업 훈련
6:00 2k 157bpm 177spm
5:50 2k 166bpm 181spm
5:40 2k 172 bpm 178spm
최대한 맞춰 뛰려고 노력했음
현재 6:00이 내 대회용 탬포인것 같다.
5:40은 힘으로 달린게 기록을 보면 나온다
일단 느리게 달리면서 마일리지를 많이 쌓자.
다음 달리기는 목요일 저녁에

반응형
반응형

심박수 맞추면서 50분 달리기
심박수 : 평균 141 최고 151
케이던스 : 평균 168
페이스 : 평균 7“27”
후기
케이던스가 많이 늦는 느낌이다.
코로 숨쉬는데 현재 평균 심박을 너무 낮게 잡은 느낌이든다
144-150사이가 적당한듯 한데 141로 계속 뛰니 발구름을 억제하는 느낌이고 그로인해 무릎쪽에 충격이 강한느낌이다(40분쯤 부터)
준비 운동을 하고 (120정도까지 올라가는듯) 바로 측정했는데 심박을 140근처까지 올리고 달리기를 시작하자(초반 심박 페이스 전부 이상해지고 이때 힘이 많이 빠지는 느낌)
3월간은  느리게 달리기 위주로 훈련해 페이스 7“00”에 심박 145BPM으로 60분 달리기 하는 것을 목표로 삼자

반응형
반응형

10k는 많이 나가 봤지만 하프는 첫도전이어서 기록을 남겨보려고 한다.
아침 회사 출근해서 평균 5:30 페이스 6k 훈련 완료


피드백
느리게 달리는 시간을 더 추가하자

반응형
반응형

추가 디스크를 마운트하기

추가된 하드를 찾아본다.

fdisk -l

/dev/sdb, /dev/vdb 중 하나로 표시되면 sdb는 2번째로 설치된 물리 디스크, vdb는 2번째로 설치된 가상 디스크이다.

파티션 설정

fdisk [파티션을 추가할 디스크]

파티션관련 설정은 다른 블로그 글이 많이 있다. p(primary)와 1(1번 파티션)을 기억하면 된다. 

파일시스템 설정

mkfs.[파일시스템 종류] [파티션 이름]

파일시스템은 ex4, xfs 두가지를 많이 사용한다.

마운트하기

mount [파티션] [파운트 위치]

/etc/fstab을 이용해 마운트 유지

fstab은 파일시스템 정보와 부팅시 마운트 정보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 없는 마운트 정보는 서버가 리부트 되는 상황에서는 휘발되는 내용이된다. 또한 루트 마운트 정보를 잘못 수정하면 부팅이 실패하는 상황도 발생한다.

cband 설치와 quota 설정

cband는 Apache에서 사용하는 트래픽 제한 모듈로 아파치의 VirtualHost 기능을 이용시 각 호스트의 트래픽을 제한

Quota는 리눅스 유저별 파일시스템의 사용량을 제한하는 기능이다.

이 두가지를 합쳐서 웹 호스팅 서비스를 운영할 때 낭비되는 서버 리소스를 관리하고 갑작스러운 리소스 소모로 인한 장애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반응형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mod-ruid2, Quota  (1) 2024.01.24
PCI, ip link  (0) 2024.01.23
리눅스 민트  (0) 2024.01.22
반응형

mod-ruid2

 

[리눅스/CentOS 7] Apache 2.4 설치(+mod_ruid2)

안녕하세요. 닷홈 입니다. 이번에는 웹서버 환경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작성하려고 합니다. Apache, Ng...

blog.naver.com

 

 

mod_ruid2 설치 방법

Apache 2 버전에서 mod_ruid2 를 설치하기로 했다.

dongbum.io

아파치에서 다중 사용자 환경인 웹 호스팅 환경인 vhost기능을 사용할 시 사용하는 모듈로 사용자계정 권한 모듈이다.

mod-ruid2가 없으면 매번 chmod 777을 이용해 권한을 변경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이되며 이는 보안에 좋지 못한다.

 

Quota

리눅스에 파일 시스템마다 사용자나 그룹이 생성할 수 있는 파일의 용량과 개수를 제한하는 기능이다.

서버는 OS가 설치된 /dev/sda, 그 후 추가된 하드 /dev/sdb,c,d... 로 나눠진다.

OS가 설치된 /sda는 루트 파일 시스템이어서 큰 파일을 계속 생성하여 디스크가 꽉차게 되면 시스템 전체 장애가 발생한다. 

쿼터를 적용하면 특정 사용자, 그룹에게 파일의 용량과 개수를 제한하여 관리를 할 수 있다.

Soft, Hard 값이 존재하며 Soft는 경고, Hard는 최대 값이다.

 

리눅스 용량 제한 관리시스템 Quota 개념과 사용법 총정리

목차 Quota의 개념 Quota란 파일 시스템마다 사용자나 그룹이 생성할 수 있는 파일의 용량과 개수를 제한하는 것을 말한다. 리눅스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용량을 제한하지 않기 때문에 특

onecoin-life.com

쿼터는 명령어로 설정할 수 있다.

1. 쿼터 생성

edquota <옵션> <유저>
-u : 사용자에 대한 설정(기본값)
-g : 그룹에 대한 설정
-t : soft를 초과시 유예기간

2.파일 시스템의 설정된 쿼터 정보 출력

repquota <옵션> <디렉토리>
-a : 쿼터가 설정된 모든 파티션 정보 출력
-u : 해당 디렉토리의 사용자 정보 출력
-g : 그룹 쿼터 정보

3. 사용자나 그룹에 설정된 쿼터 정보 출력

quota <보고 싶은 대상>

4. 쿼터 설정 변경

setquota <옵션> <대상>

setquota -u user1 9000 10000 0 0 /home
user1 사용자는 soft 9mb, hard 10mb 설정한다.
반응형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티션 추가, cband와 quota  (0) 2024.01.25
PCI, ip link  (0) 2024.01.23
리눅스 민트  (0) 2024.01.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