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RIP?

Dynamic 프로토콜의 종류중 하나로 Distance Vector 라우팅 방식 프로토콜로 오로지 거리(Hop/라우터 1대를 의미)와 방향을 기준으로 패킷을 전달하는 프로토콜이다.

경로를 설정하는 기준은 Hop 카운트로서 최대 15개 까지만 허용된다.

업데이트 주기는 30초로 업데이트시 경로 이상, 새로 생긴 경로 정보를 업데이트 한다.

장점?

소규모 네트워크에서 자원을 적게 사용해서 효율적이다.

간단히 구성이 가능하다.

단점?

Hop이 16을 넘어가면 네트워크를 찾지 못해 대규모에서는 한계가 있다.

속도, 거리 지연등을 고려하지 않는다.

전체 경로를 브로드캐스트 해서 전체 네트워크에 트래픽을 유발한다.

v1, v2 차이

v1은 classful하다는 검색 결과가 많이 나오는데 네트워크 클래스 별로 네트워크를 라우팅한다는 뜻이다. 서브넷 마스크 정보가 없기 때문에 라우팅 정보가 커지고 클래스로 분별해서 다른 IP주소여도 같은 IP 주소로 파악해 통신이 안될 수 있다.

V2

V2는 Classless로 서브넷 마스크 정보를 사용할 수 있고 인증을 지원하며 브로드캐스트가 아닌 멀티캐스트(224.0.0.9)를 이용해 트래픽을 줄인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