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WHAT?

브릿지 테이블이라고도 하는 MAC 주소 테이블은 스위치나 브릿지에 연결된 컴퓨터들의 맥 주소를 저장 한것이다.

HOW?

A-SW-B 일때 A에서 B로 데이터를 보내려고 할때 SW를 거치게 된다.

1. 첫 전송이면 SW에는 A로부터 MAC 주소를 학습하게 된다.

2. SW은 B에 대한 MAC 주소 테이블이 비어 있어 스위치는 연결된 모든 장비에 브로드캐스트를 전송하는데 이것을 Flooding이라고 한다.

3. Flooding을 통해 B가 자신의 맞다고 SW에 답장을 보내며 이때 SW은 B의 MAC 주소를 학습한다.

4. 다른 장치가 SW에 연결이 되어 있으면 자신의 것이 아니어서 응답하지 않는 것을 필터링이라고 한다.

5. 이제 A-> B를 가는 방향을 SW에서 MAC 테이블에 저장되서 더이상 Flooding을 하지 않는데 정보가 있어서 Flooding 하지 않는 것을 포워딩이라고 한다.

WHY?

MAC 주소 테이블은 300초간 주소를 보유하는데 해킹의 위협을 위해 짧게 저장하고 있다.

영구히 저장을 하지 않아 계속해 MAC 주소 테이블을 생성한다.

반응형

'경기도 미래기술학교 클라우드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y 14 23.06.13 화  (0) 2023.06.13
Day 13 23.06.12 월  (0) 2023.06.12
Day 11 23.06.08 목  (0) 2023.06.08
Day 10 23.06.07 수  (1) 2023.06.07
Day 9 23.06.05 월  (0) 2023.06.0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