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TTP 통신은 브라우저에서 요청이 서버로 왔을 때만 서버에서 응답을 해줄 수 있다.

WebSocket은 클라이언트와 서버에 connection을 만들어 놓으면 양방향에서 서로 필요할때 주고 받을 수 있다.

Node에서는 Socket.io 라이브러리를 이용해서 쉽게 구현 할 수 있다. (브라우저간의 호환, 버전간의 호환에 유리)

서버 

1. npm i socket.Io 설치

socket.io 기본 연결

http서버를 socket.io를 이용 socket.io 서버로 진화, new Server(server, {옵션}) 옵션에는 다양한 것을 넣을 수 있다 연결확인, 몇초 간격으로 확인 할지, cors 허용등 다양하게 있다.

socketIO.on으로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을 했을 때 connection 이벤트를 발생 

emit으로 메세지를 전송하는데 받는 대상을 정할 수 있다. -> 인터넷에 많음

https://velog.io/@hyex/socket.io-%EC%82%AC%EC%9A%A9%ED%95%A0-Client-API

Auth

socket.handshake.auth.token으로 token을 이용가능

반응형

'취업전 끄적 > 내가 다시 보기 위한 공부내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안  (0) 2023.04.12
배포  (0) 2023.04.12
mongoose  (0) 2023.04.11
Database  (0) 2023.04.10
기술면접 대비 - 자료구조  (0) 2023.04.0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