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포트 포워딩 

Docker 강의를 듣다가 나온 포트 포워딩 -> 목적은 도커 컨테이너 내부 서버를 외부에서 접속하기 위해서이다.

내부 컨테이너에서 3000번 포트로 실행해서 포스트맨으로 접속하려고 하면 접속이 안된다. 

외부에서 접속하는 포트가 컨테이너 3000번 포트와 연결이 되게 해줘야 한다.

docker run -p 호스트 포트번호 : 컨테이너 포트번호 로 설정이 가능하다.

shorthand property

객체를 {key:value} 가 같은 값일때 축약해서 사용하는 것을 shorthand property이라고  부른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