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VLSM

  ㅇ 각 서브넷(Sub-Network) 마다 가변 길이의 서브네트 마스크를 적용하는 기법
     - 각 서브넷이 각기 다른 크기(호스트 수 또는 주소 배정 수)를 갖을 수 있음

  ㅇ Classful Addressing 처럼 고정 길이의 서브네트 마스크를 적용하지 않고,
     - 호스트 수가 적은 네트워크에는 긴 서브넷 마스크, 그 반대에는 짧은 서브넷 마스크 적용 등
        . 동일 네트워크 주소공간에서, 다른 크기의 서브네트 사용 허용
           .. (서브네트의 가변 길이 서브넷팅)


2. VLSM 특징

  ㅇ VLSM은 서브넷 (Subnet) 지정의 융통성과 성능을 향상시켜줌
     - 만일, Class C 주소를 할당시 256개 호스트 주소가 가능하나, 
        . 이보다 작은 수의 주소 만이 필요할 때, 적은 수의 주소를 할당 가능하여 
          주소의 낭비를 막음
     - 이미 서브넷으로 나누어진 네트워크 주소도 더 작은 서브넷으로 나눌 수 있음
        . 예로써, 먼저 `/16` 서브넷 마스크로 나눈 네트워크를, 다시 `/24` 서브넷 마스크로
          나누고, 이를 또다시 `/27` 서브넷 마스크로 추가적으로 나눌 수 있음
     - 2개의 양단간 시리얼(Serial) 네트워크도 이용 가능
        . 이때에는 `/31` 접두사(Prefix)를 사용하면 됨 (RFC 6164)

  ㅇ 주소 축약(Address Aggregation,경로 요약)도 가능
     - 여러 서브넷으로 나누어진 네트워크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다시 묶어 표현 가능

출처

ktworld

 

VLSM

VLSM   Variable Length Subnet Mask   가변길이 서브넷 마스크(2022-06-26)

www.ktword.co.kr

예제)

1) 어떤 회사에서 160.10.0.0/16 네트워크를 할당 받았을 때, 6개의 부서가 각각의 네트워크를 쓰도록 서브넷팅 하라
  6개의 부서 = 6개의 네트워크 기준 -> 6<8(2^3) 3bit 서브넷을 가지게 나누면된다. = /19

  160.10.0.0~160.10.31.255/19 범위의 IP주소를 가진 네트워크가 6개가 생긴다.

2) 1)에서 서브넷팅 된 사용가능한 2번째 네트워크를 한 서브넷 당 254대의 장비에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도록 서브넷팅 하라

  1)의 두번째 네트워크 범위는 160.10.32.0 ~ 160.10.63.255까지이다. 즉 160.10.32.0/19를 254개의 호스트 기준으로 서브네팅해라

  254개의 호스트 기준 -> 254<256(2^8) 8bit의 호스트 ID를 가지는 서브넷 = /24 가된다.

  160.10.32.0 ~ 160.10.32.255의 IP 주소를 가진 네트워크 범위로 나눠지게 된다.
3) 2)에서 서브넷팅 된 3번째 네트워크를 16개의 네트워크로 서브넷팅 하라

  2)의 3번째 네트워크는 160.10.34.0 ~ 160.10.34.255/24을 가지는 네트워크이다.

  160.10.34.0/24를 네트워크 기준으로 나누면된다. 16 = 2^4

  160.10.34.0 ~ 160.10.34.15/28의 범위를 가진 네트워크가 된다.
4) 3)에서 서브넷팅 된 사용가능한 5번째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이름과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구하라

  5번째는 0, 16, 32, 48, 64로 160.10.34.64 ~ 160.10.34.79/28의 네트워크이다.

반응형

'경기도 미래기술학교 클라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더넷  (0) 2023.05.26
2계층 데이터링크  (0) 2023.05.26
라우터  (0) 2023.05.25
물리적 주소 MAC  (0) 2023.05.25
CIDR  (0) 2023.05.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