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데이터링크 계층은 직접 연결된 서로 다른 2개의 네트워크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계층

서로 케이블로 연결되어 있던 2 계층의 네트워크 장치 스위치에 연결되어 있어야 된다.

네트워크 기기 간 데이터를 전송하고 물리 주소를 결정하는 계층

1 계층의 네트워크 장비 허브는 데이터를 보내는 기능만 가지고 있어 원하는 컴퓨터에게만 데이터를 보낼 수가 없다.

네트워크 장비 사이의 신호를 주고받는 규칙을 정하는 층

또한 허브로 연결이 된 컴퓨터들끼리 통신하는 경우 동시에 전송하려고 할 때 데이터가 충돌이 나게 된다.

2 계층의 네트워크 장비 스위치

동시에 여러 장비가 서로 간섭 없이 통신하도록 도와준다. - 충돌 도메인을 작게 분할해 준다.

각 포트들은 각각의 MAC 주소를 가지고 있어 한 포트에 하나의 노드만 가지게 해 준다.

충돌 도메인은 조절할 수 있지만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은 불가능하다.

EUI와 MAC

EUI는 IEEE 표준으로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유일 식별성을 갖추기 위한 주소 형식이다. -> MAC의 표현 방식

MAC은 여기 

 

물리적 주소 MAC

MAC은 컴퓨터의 물리적 주소로 통신을 위해서는 IP주소와 MAC주소 둘다 있어야 통신이 가능해진다. IP는 3계층에서 맥은 2계층에서 사용이되는데 ARP IP주소를 맥주소로 바꾸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leehan098.tistory.com

참고

KTWORLD

 

충돌 도메인

콜리전 도메인, 컬리전 도메인, Microsegmentation, 마이크로 세분화, 마이크로 세그멘테이션

www.ktword.co.kr

 

반응형

'경기도 미래기술학교 클라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ICMP  (0) 2023.05.26
이더넷  (0) 2023.05.26
가변길이 서브넷팅 VLSM  (0) 2023.05.26
라우터  (0) 2023.05.25
물리적 주소 MAC  (0) 2023.05.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