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습 목표
물리 구성도와 논리구성도를 보고 망을 구성
L3 Switch의 VLAN 설정을 통해 통신
문제
GNS 3를 통해 구성한 모습 (라우터에 스위치 모듈을 장착해 L3 스위치 구현)
고민 할 점
1. 라우터와 스위치들의 연결을 어떻게 할 것인가?
R1, R5는 포트, 케이블이 1개에 하나의 대역을 가지고 있다.
굳이 서브 인터페이스를 나눌 필요가 없고 SW1,2입장에서도 트렁크 링크로 보낼 이유가 없다.
-> R1,5는 물리적 인터페이스에 IP를 할당, SW1,2의 연결 포트도 access 링크로 연결
R 2, 3, 4는 하나의 포트, 케이블에 2개의 대역을 가져야 한다. = 서브 인터페이스 필요
SW 1,2 는 access 링크로는 2개의 VLAN을 사용하지 못한다. = 트렁크 링크 필요
-> R 2,3,4는 서브 인터페이스 + 인캡슐레이션 dot1Q 필요, SW 1,2는 Trunk 모드로 연결
2. 모든 라우터를 통신할 방법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가진 장비들은 WAN 영역이다. 통신을 위해서 필요한 것은 라우팅 테이블
-> 라우팅을 해야 한다. (귀찮으니 OSPF를 사용하자)
실습 과정 (케이블은 알아서 잘 했다 생각 후 넘어간다.)
순서 : SW 1,2 -> R 1,2,3,4,5 -> 라우팅 (순서를 잘 지켜야한다.)
SW 1 설정
SW1(config)# VLAN [10 | 20] -> VLAN을 먼저 만들어 준다.
SW1(config)# int f 1/1 -> f1/1SW1(config-int)# no shutdownSW1(config-int)# switchport mode access -> f1/1의 스위치 연결을 access로 변경한다.
SW1(config-int)# switchport access VLAN 10 -> VLAN 10으로 access 연결한다 설정한다.
SW1(config)# int f 1/2SW1(config-int)# no shutdownSW1(config-int)# switchport mode trunk -> f 1/2의 스위치 연결을 trunk로 변경한다.
SW1(config)# int f 1/4SW1(config-int)# no shutdownSW1(config-int)# switchport mode trunk -> f 1/2의 스위치 연결을 trunk로 변경한다.
SW2 설정
SW1(config)# VLAN [20 | 30 | 40] -> VLAN을 먼저 만들어 준다.
SW1(config)# int f 1/4SW1(config-int)# no shutdownSW1(config-int)# switchport mode trunk -> f 1/2의 스위치 연결을 trunk로 변경한다.
SW1(config)# int f 1/3 -> f1/3SW1(config-int)# no shutdownSW1(config-int)# switchport mode access -> f1/3의 스위치 연결을 access로 변경한다.
SW1(config-int)# switchport access VLAN 40 -> VLAN 40으로 access 연결한다 설정한다.
SW1(config)# int f 1/2SW1(config-int)# no shutdownSW1(config-int)# switchport mode trunk -> f 1/2의 스위치 연결을 trunk로 변경한다.
SW1(config)# int f 1/1SW1(config-int)# no shutdownSW1(config-int)# switchport mode trunk -> f 1/1의 스위치 연결을 trunk로 변경한다.
스위치 설정에서 기억 할 것!
!!!VLAN을 먼저 만들어 주자.
access와 trunk가 어떤 상황에 사용이 되는지 알고 쓰자.
라우터 설정 (R1, R3만 가이드 작성)
R1 설정
R1(config)# int f 0/0R1(config-int)# ip add 12.12.12.1 255.255.255.0R1(config-int)# no shutdownR1(config)# int loop 0R1(config-int)# ip add 1.1.1.1 255.255.255.0
R3 설정 (sub 인터페이스 설정이 필요하다.)
R3(config)# int f 0/0R3(config-int)# no shutdownR3(config)# int f 0/0.23R3(config-int)# encapsulation dot1Q 20 -> 트렁크 연결이어서 dot1Q와 VLAN 20설정
R3(config-int)# ip add 23.23.23.3 255.255.255.0R3(config)# int f 0/0.34R3(config-int)# encapsulation dot1Q 30 -> 트렁크 연결이어서 dot1Q와 VLAN 30설정
R3(config-int)# ip add 34.34.34.3 255.255.255.0
라우터 설정은 OSPF로 설정한다.
'경기도 미래기술학교 클라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xy ARP (0) | 2023.06.19 |
---|---|
멀티레이어를 통한 VLAN 실습 (0) | 2023.06.15 |
SVI & Routed-Port (0) | 2023.06.13 |
멀티레이어 Switch 와 해당계층 네트워크 장비 (0) | 2023.06.13 |
이중화 & STP 초입 (0) | 2023.06.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