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레이어 스위치 실습 기본 가이드
실습 목표
Tag의 동작 방식을 이해해 상황에 맞는 mode를 사용
논리적 구성도와 물리적 구성도가 차이가 있는 상황을 경험하고 해결
연결된 port가 물리적으로 연결이 안됬을 때 통신 시키기
BackLog
1. 논리적 구성도의 흐름을 파악
F1/10은 VLAN 3개가 겹쳐서 Trunk
SW8의 F1/1은 2개의 VLAN으로 Trunk나머지는 access로 연결한다.
R3-SW7은 Routed-Port로 직접 연결한것이다.
2. 라우터, 스위치 설정하기
3. static으로 라우팅
R1 <-> SW7 연결만 가이드 작성 (나머지는 가이드 내용을 바탕으로 혼자 실습)
SW 7 설정
sw7(config)# VLAN 15 | 17 | 28 | -> VLAN 생성
sw7(config)# int VLAN 17
sw7(config-int)# ip add 17.17.17.7 -> SVI로 VLAN 17 인터페이스를 만든 후 ip 할당
sw7(config)# int f1/10
sw7(config-int)# sw m t -> 1/10은 트렁크 모드로 변경한다.
sw7(config)# int f1/2
sw7(config-int)# sw m a
sw7(config-int)# sw a vlan 24 -> 1/2는 vlan 24 경로이다.
sw7(config)# int f 1/5
sw7(config-int)# sw m a
sw7(config-int)# sw a vlan 15 -> 1/5는 vlan 15 경로이다.
SW 8 설정
sw8(config)# vlan |15|17|28|38| -> vlan 생성
sw8(config)# int vlan 38
sw8(config-int)# ip add 38.38.38.8 255.255.255.0 -> vlan 37의 SVI 생성
sw8(config)# int f1/10
sw8(config-int)# sw m t
sw8(config)# int f1/1
sw8(config-int)# sw m t
sw8(config)# int f1/3
sw8(config-int)# sw m a
sw8(config-int)# sw a vlan 38
sw8(config)# int f1/4
sw8(config-int)# sw m a
sw8(config-int)# sw a vlan 24
sw8(config)# int f1/5
sw8(config-int)# sw m a
sw8(config-int)# sw a vlan 15
R1 설정
R1(config)# int f 0/1
R1(config-int)# no shutdown
R1(config) int f0/1.15
R1(config-intsub)# en dot1Q 15 -> vlan 15를 받겠다.
R1(config-intsub)# ip add 15.15.15.1 255.255.255.0
R1(config) int f0/1.17
R1(config-intsub)# en dot1Q 17 -> vlan 17를 받겠다.
R1(config-intsub)# ip add 17.17.17.1 255.255.255.0
트러블 슈팅
1. 설정을 하고 약 30초의 시간을 기다려야 한다.
-> 그동안 show를 통해 인터페이스를 확인하자.(켜졌는지)
2. R1의 f 0/0과 연결된 SW7 f1/1에는 access를 설정할 필요가 없다.
-> 설정해서 통신이 된것이 아니라 기다리지 못해서 통신하지 못했을 뿐
(과한 설정이 된다.)
'경기도 미래기술학교 클라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DNS (0) | 2023.06.19 |
---|---|
Proxy ARP (0) | 2023.06.19 |
GNS3를 이용한 VLAN 기 (1) | 2023.06.14 |
SVI & Routed-Port (0) | 2023.06.13 |
멀티레이어 Switch 와 해당계층 네트워크 장비 (0) | 2023.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