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구성도

Cloud1 = ubuntu_Desk, Cloud2 = ubuntu_Server(DHCP 서버), Cloud3 = Wi-Fi로 연결한다.

Cloud1에서 Cloud3를 통해 외부 8.8.8.8과 Ping 통신을 하게 하자.

R1에서 NAT 설정으로 Wi-Fi의 공인 IP와 내부 IP를 연결해서 통신이 되게 해야 한다.

R1의 f 0/0은 내부 IP의 게이트웨이로 설정한다.

R1의 f 0/1은 외부의 IP를 DHCP로 할당을 받는다. -> 외부와 통신하기 위해서 (외부에서 쓰는 IP를 모르기 때문에)

R1의 f 0/1 설정

wi-fi와 연결하기 위해서 wi-fi의 MAC 주소를 입력한다.

*주의* 순서를 중요하게 한다. - MAC-Address > ip add DHCP > no sh 순서가 틀리면 IP가 할당 되지 않는다.

NAT 설정

SHOW RUN올 확인한 NAT 설정

1. access-list 1 permit 176.10.0 0.0.0.255 > ACL 정책을 만든다. 내부 IP 대역 허용

2. ip nat inside source list 1 interface f 0/1 overload = 외부의 IP들이 무엇들이 있는지 모르기 때문에 나가는 IP Pool이 아니라 나가는 인터페이스를 설정해서 모르는 외부 IP 대역을 해결한다. 또한 overload를 무조건 설정을 해야하는데 외부에 얼마나 많은 IP들이 있는지 모르기에 overload로 설정한다.

3. in, out side를 설정하면 된다.

반응형

'경기도 미래기술학교 클라우드 > 실습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DNS + DHCP  (0) 2023.06.29
DNS 실습 가이드  (0) 2023.06.28
ubuntu DHCP 실습 가이드  (0) 2023.06.24
ACL 실습 가이드  (0) 2023.06.21
ACL  (0) 2023.06.2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