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P
끊어 졌을 때를 대비해 커넥트 상태의 IP 들도 라우팅을 해줘야 한다.
끊어지면 커넥트 정보가 사라지기 때문에 정보가 없어지게 된다. 그렇기에 커넥트 정보도 수동 라우팅을 해줘야 한다.
R2의 s1/0이 끊고 다시 실행했을 때 R1의 s1/0이 같이 동작하게 EEM 설정하기
ip sla 100 = sla 100 만들기
icmp-echo 10.1.12.2 = 10.1.12.2로 icmp를 날려 확인한다.
timeout 1000 = 1000ms(1초)안에 응답이 없으면 down된것으로 간주한다.
frequency 1 = 1초에 한번씩 확인한다.
ip sla schedule 100 life forever start-time now = sla 100을 직접 끄기 전까지 동작하며 바로 시작한다.
track 11 rtr 100 reachability = 위의 작업 결과(rtr 100 = ip sla 100)를 track 11에게 보고한다.
event manager applet [event 이름] = 이벤트를 만들기
event track 11 state [up | down | any] maxrun 100 = 이벤트는 11번 트랙의 상태를 확인해 발생한다. maxrun 최대런타임값
action [number] [종류] [서브종류] "해당 문구" = action은 순서대로 동작할 명령어를 입력한다.
DOWN이 됬을 때 Backup하기
TS
우분투에서 ftp passive 관련 잘못 설정이 되어있는 것 같다.
Track을 만들어야 한다.
반응형
'경기도 미래기술학교 클라우드 > 실습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를 이용한 간단한 script 자동화 (0) | 2023.07.14 |
---|---|
Docker 명령어 실습 가이 (0) | 2023.07.11 |
HSRP 실습 (3) | 2023.07.05 |
STP 실습 가이드 (0) | 2023.07.03 |
DNS + DHCP (0) | 2023.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