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Docker 설치는 다른 가이드 참조
docker –help : Docker
의 명령어를 보여준다
docker -v : 
도커가 설치된 버전과 빌드 버전이 나온다.

docker version : 도커의 자세한 버전과 정보가 나온다.
docker info : version
보다 더 자세한 정보가 나오게 된다.

ubuntu os


Docker run -it ubuntu /bin/bash-
it :i는 사용자가 입출력할 수 있게 하는 명령어, t는 가상 터미널 환경을 만든다는 뜻이다.
Hostname -
= hostname은 해당 호스트(장비)의 이름 -i를 통해 IP를 확인할 수 있다.

도커 네트워크 구조
컨테이너 네트워크 구조

https://captcha.tistory.com/70

cat /etc/*-release = 리눅스의 종류와 버전을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apt-get update apt-get install iputils-ping -y 
ping은 리눅스의 기본 명령어가 아니어서 ping을 시도하면 없는 명령어라고 경고가 뜬다.

이것으로 확인 할 수 있는 것은 ping은 하나의 소프트웨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apt
를 통해서 iputils-ping을 설치하면 그 동안 사용했던 ping이 된다.

ubuntu와 centos의 설치는 다른 점이 없다.

ping을 보내면 우분투와 다르게 작동이 되는데 centOS는 기본적으로 ping을 설치해주는 차이가 있어서 이다.
mkdir
은 리눅스의 기본 명령어이어서 사용이 가능해진다.
ctrl + p + q
는 컨테이너를 종료하지 않으면서 /bin/bash를 나가는 역할을 해준다.
ls -ld /test/
는 test 폴더의 상세보기 이다.

docker run -it busybox /bin/sh 단순 유틸
busybox? 
리눅스 상에서 자주 사용되는 명령어들만 모은 압축 파일
busybox를 입력하면 사용이 가능한 명령어 모음들이 나온다.
busybox의 기본 쉘은 bash가 아니라 sh이다.

Nginx 컨테이너 run 시 주의 사항
-d
를 넣지 않으면 컨테이너 시작하면서 nginx 설정 안으로 들어가는데 이때 멈춘다 exit로 나올 수는 있지만 컨테이너가 꺼지게 된다. – 불필요한 접근을 시도해서 생기는 문제 같다.

-d를 이용해서 run 할 경우 nginx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docker exec -it [nginx
가 설치된 컨테이너이름] /bin/bash를 통해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etc/nginx
에서 nginx의 기본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nginx.conf 웹서버 기본 설정을 해주는 파일

User : 사용자
worker_proccesses : 
프로세스를 몇 개를 만들 것인가 (auto로 두자
) pid : nginx
와 프로그램 간의 연결
include : 
설정을 가지고 있는 지정된 다른 파일들을 포함 
https://velog.io/@tjdwns2243/docker-nginx-%EC%84% A4% EC% A0%95

https://juhpark.tistory.com/20

내용을 바꾸기 위해서는 /etc/nginx/conf.d/default.conf을 수정해야 한다

listien은 prot 번호 root는 html 파일이 어디 있는지 알려주는 경로로 저 안에 있는 html을 수정하거나 새로운 html을 넣어서 경로를 맞춰주면 해결이 된다.
모든 설정이 완료되면 nginx를 재 설정을 해주면 적용이 된다.
nginx -s reload

외부에서 SSH, http 접속하기 

Host인 컴퓨터에서 컨테이너에 ssh나 http를 접속하기 위해서는 포트포워딩이 필요하다.

왜?에서는 컨테이너로 갈 수 없기 때문에 우분투에서 컨테이너로 갈 수 있는 길을 연결해줘야 한다.

ex) 192.168.56.1 : 220 > 10.0.2.15 : 220 > 172.17.0.5 : 22
컨테이너에서 포트포워딩을 위해서 docker run을 하면서 -p 외부에서 들어올 포트 내부에서 사용할 포트 통해서 외부의 출입을 허용해 줄 수 있다. 컨테이너를 만들면서 포트를 연결해 주면 우분투에서 포트가 연결이 되었다고 확인을 할 수 있다.

http(80)연결

다음은 호스트에서 우분투와 연결을 해야 한다. 

호스트는 우분투에 들어가려면 Virtual Box를 통과해야 한다. Virtual Box에서 외부에서 접속할 포트 내부에서 사용될 포트를 연결해줘야 한다.

192.168.56.1은 버추얼 박스의 NIC로 호스트에서 연결하는 곳이다. 게스트 IP 10.0.2.15는 우분투 내에서 사용이 되는 부분이다.
22 : 22133
은 우분투에 ssh 접속하기 위한 포트포워딩
220: 220
은 도커 컨테이너와 ssh 접속하기 위한 포트포워딩
3000 : 80
은 http 통신하기 위한 포트포워딩이다.

3000 앞에 비운 이유는 localhost를 사용하기 위해 ip를 입력하지 않았다.

반응형

'경기도 미래기술학교 클라우드 > 실습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l 실습  (0) 2023.07.17
Docker를 이용한 간단한 script 자동화  (0) 2023.07.14
EEM 가이드  (0) 2023.07.05
HSRP 실습  (3) 2023.07.05
STP 실습 가이드  (0) 2023.07.0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