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P 주소란?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장치들이 서로를 인식하고 통신을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특수한 번호(네트워크 상의 주소)이다.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가 라우터이든 일반 서버이든, 모든 기계(네트워크 장비)는 이 특수한 번호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 번호를 이용하여 발신자를 대신하여 메시지가 전송되고 수신자를 향하여 예정된 목적지로 전달된다. IP 주소를 줄여서 IP라고 부르기도 하나 IP는 인터넷 규약 자체를 가리키는 말이기 때문에 엄밀하게는 구별해야 한다. IP와 IP 주소는 다른 개념이다.

고유한 IP주소를 할당받아 사용하는 방법 이외에도 DHCP를 이용하여 동적으로 IP주소를 할당받는 방법도 있다.

IPv4?

IP 버전 4 주소라는 뜻으로 32비트의 범위를 가진 주소이다. - 약 43억 개의 주소를 가질 수 있다. -> 현재 고갈 중

8비트로 옥텟을 기준으로 4등분을 해서 사용한다. 각 옥텟은 8비트여서 0~255까지의 십진수를 넷으로 쓰고.으로 구분하여 나타낸다.

0.0.0.0부터 255.255.255.255까지 나타낼 수 있다. 127로 시작하는 주소는 localhost로 자기 자신을 가리킨다.

공인 VS 사설?

공인 : 전 세계 적으로 ICANN이라는 기관이 국가별로 사용할 IP 대역을 관리하는 IP 주소로 우리나라의 공인 IP들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ISP가 KISA에게 부여받고 일반 사용자에게 가입을 통해서 IP를 제공해 준다.

사설 : 공유기를 사용한 인터넷 접속 환경일 경우 공유기까지는 공인 IP 할당이지만 공유기에 연결되어 있는 각 컴퓨터와 네트워크 기기는 사설 IP를 공유기에서 사설 IP를 할당받는 것이다.-> 사설 IP는 어떤 네트워크 안에서만 내부적으로 사용되는 고유한 주소이다.

요약

공인 IP는 전 세계에서 유일하지만, 사설 IP는 하나의 네트워크 안에서 유일하다. 공인 IP는 외부,내부 상관없이 해당 IP에 접속할 수 있으나, 사설 IP는 내부에서만 접근이 가능하다.

참고

https://inpa.tistory.com/entry/WEB-%F0%9F%8C%90-IP-%EA%B8%B0%EC%B4%88-%EC%82%AC%EC%84%A4IP-%EA%B3%B5%EC%9D%B8IP-NAT-%EA%B0%9C%EB%85%90-%EC%A0%95%EB%A7%90-%EC%89%BD%EA%B2%8C-%EC%A0%95%EB%A6%AC

반응형

'경기도 미래기술학교 클라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정,유동 IP  (0) 2023.05.25
게이트웨이  (0) 2023.05.25
TCP / UDP  (1) 2023.05.24
프로토콜  (0) 2023.05.24
네트워크  (0) 2023.05.2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