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단말 지점 간의 비용-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해 고안되었다.
하나의 물리적인 회선에 여러 논리적인 회선인 가상회선을 만들어 마치 전용선처럼 취급하는 서비스이다.

DLCI

Data Link Connection Identifier 프레임 릴레이 망에서 단대단을 식별하는 번호


PVC

Permanent Virtual Circuit 항시 연결, 영구적인 회선이다.


프레임 릴레이 설정


FR과 R는 Serial로 연결이 되어 있다.
(config)# int s 1/0 -> s 1/0 인터페이스 접속
(config-if)# encapsulation frame-relay -> 연결 방식을 frame-relay로 변경
(config-if)# no frame-relay inverse-arp -> 자동 맵핑 끄기
(config-if)# no shutdown -> 실행 (가상 회선을 생성하려면 물리적 인터페이스가 켜져있어야 한다.)


멀티 포인트 연결


(config)# int s 1/0.34 multipoint -> 34라는 가상 회선을 멀티포인트로 만든다.
(config-subif)# ip address 16.16.34.3 255.255.255.0 -> IP주소 할당
(config-subif)# frame map ip 16.16.34.4 304 br -> 수동으로 16.16.34.4 ip로 DLCI 304로 보내라


포인트 투 포인트 연결


(config)# int s 1/0.43 point to point -> 43라는 가상 회선을 포인트 투 포인트로 만든다.
(config-subif)# ip address 16.16.43.3 255.255.255.0 -> IP주소 할당

(config-subif)# frame-relay interface-dlci 314-> 포인트 투 포인트는 나갈 구멍만 설정하면 된다.

반응형

'경기도 미래기술학교 클라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Hub & Spoke  (0) 2023.06.08
OSPF Area 실습 가이드  (0) 2023.06.08
BMA, NBMA  (0) 2023.06.07
OSPF  (1) 2023.06.07
라우팅 우선순위  (0) 2023.06.0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