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OSPF Area 분할 실습

실습 목표

1.     OSPF 라우팅 프로토콜의 특징인 Area 분할 하는 법을 배운다.

2.     LSDB 확인하여 어떤 LSA 타입이 저장되고 사용되는지 확인한다.

3.     재분배를 통해 ASBR 통해 LSA type 5 확인한다.

실습 과정

1.     브로드 캐스트 네트워크를 구분 물리적 구성도 파악

2.     Frame Relay dlci 설정

3.     라우터의 기본 설정을 한다. (가이드에서는 넘어간다.)

4.     OSPF 프로토콜 설정 연결과 LSDB 확인

5.     R2, R3에서 Lo 네트워크를 추가한 재분배

6.     LSDB 확인

논리적 구성도

 

1~3까지의 과정을 성공 했다 가정하고 넘어간다.

 

OSPF 프로토콜 설정 연결과 LSDB 확인

R2 설정

R2(config)# router ospf 1 -> R2 ospf 설정 시작

R2(config-router)# network 8.8.12.0 0.0.0.0 area 1

-> area 1 8.8.12.0 대역을 광고하고 마지막 옥텟까지 확인한다.

R2(config-router)# network 8.8.2.0 0.0.0.0 area 1

-> area 1 8.8.2.0 대역을 광고하고 마지막 옥텟까지 확인한다.

R2(config-router)# network 8.8.23.0 0.0.0.0 area 0

-> area 0 8.8.23.0 대역을 광고하고 마지막 옥텟까지 확인한다.

Area 0, Area 1 동시에 가지는 이유 R2 ABR 라우터

 

Show ip ospf database 통해 R2 LSDB 확인

Router Link States (Area 1) -> Area 1 Type 1 정보

Net Link States(Area 1) -> Area 1 Type 2 정보

Summary Net Link States (Area 1) -> Area 1 Type 3 정보

Router Link States (Area 0) -> Area 0 Type 1 정보

Summary Net Link States (Area 0) -> Area 0 Type 3 정보

è R1 ~ R2 멀티엑세스 연결이어서 DR 자동으로 설정이 된다.

OSFP 상황에 따라, 연결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정보가 달라진다.

R2 Type 5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재분배를 이용

재분배?

서로 다른 라우팅 도메인을 연결 라우팅 프로토콜이 다르지만 연결 해야

Redistribute [연결할 프로토콜] subnets -> 기본 설정 E2 설정 된다.

E1, E2 있으며 E1 라우터를 지나 마다 Cost 변경되고 E2 Cost 고정이다.

R2(config)# router ospf 1 -> 재분배는 프로토콜에서 설정 해야 한다.

R2(config-router)# redistribute connected -> 직접 접속된 네트워크의 재분배

직접 접속된 네트워크를 특정 라우팅 프로토콜에 포함시킬 재분배를 이용할 있다.

다시 db 확인하면

Type-5 External Link States 라는 새로운 저장 정보가 보이게 된다.

실습을 통해 배운것

Area 나누는 것은 통신을 막는 것이 아니다.

LSA 정보를 확인하며 Network 타입과 연결 정보를 확인 있다.

 

반응형

'경기도 미래기술학교 클라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ub & NSSA Stub  (0) 2023.06.09
Hub & Spoke  (0) 2023.06.08
프레임 릴레이 Frame Relay  (1) 2023.06.07
BMA, NBMA  (0) 2023.06.07
OSPF  (1) 2023.06.0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