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VLAN?
L2 스위치 부터 제공되는 가상의 LAN을 구성하는 기능
스위치에서 물리적 배치와 상관없이 논리적으로 LAN을 구성할 수 있는 기술이다.
VLAN을 통해 브로드캐스트 도메인을 나눌 수 있다. -> 기본 목적
장점
네트워크(브로드캐스트 도메인)를 분리함으로 허용된 대상만 접근하게 한다.
물리적 변화 없이 네트워크 구조를 변경 할 수 있다.
Access link
엑세스 링크는 오직 한 VLAN에만 속하는 링크이기 때문에 한 VLAN 트래픽만 왕래 할 수 있다.
Trunk Link
모든 VLAN에 속하는 트래픽이 왕래 할 수 있다.
하나의 포트에 여러 VLAN이 지나가는 것 -> 어떻게 구분하고 인식하는가?
프레임에 태그를 삽입해서 구분한다 -> IEEE 802.1Q라는 표준 프로토콜을 통해서
물리적 구성과 논리적 구성의 차이를 보자
각 sw에 2개의 host가 연결되어 있고 각 vlan 번호가 설정이 되있다. 논리적으로 보면 vl10, vl20, vl30에 맞는 host가 연결이 되어있다.
스위치 간에 Trunk로 연결해서 default vlan은 all이 되어서 하나만 표현이 된다.
반응형
'경기도 미래기술학교 클라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중화 & STP 초입 (0) | 2023.06.12 |
---|---|
브릿지 모드 & NAT 모드 (0) | 2023.06.09 |
Stub & NSSA Stub (0) | 2023.06.09 |
Hub & Spoke (0) | 2023.06.08 |
OSPF Area 실습 가이드 (0) | 2023.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