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b Area ?
ABR과 연결된 내부 Area로 외부 네트워크에 대한 Type-5 LSA 광고를 차단하고 기본 경로를 전달
-> Area 내부에서는 LSA 광고양이 최소화됨
장점?
1. 라우팅 테이블 크기가 최적화 된다.
2. 라우팅 테이블 크기가 줄어들어 효율적으로 운영이 될 수 있다.
단점?
Area 내부에 ASBR이 있는 경우 Stub Area로 구성하면 안된다. (Stub Area에서 ASBR 동작을 위해 재분배 설정이 되지 않음)
특이 사항
Area 0은 Stub이 되면 안된다.
Virtual-link가 구성된 Transit Area는 Stub Area 구성이 안된다.
Stub area 유형
Stub : ABR와 연결된 내부 Area로 Type4(E1), Type5(E2)를 차단 한다. -> 재분배 경로를 차단한다.
예시
R1 - (Area 1)-R2 -(Area 1)- R3 일때 Area 1을 Stub 하는 법
R1(config-router)# area 1 stub
R2(config-router)# area 1 stub -> 양 쪽에서 설정을 해줘야 한다.
Totally Stubby Area : ABR과 연결된 내부 Area로 Type3(IA) Type4(E1), Type5(E2)를 차단 한다.
E1,E2,AS내의 다른 Area 경로까지 막는다.
예시
R1 - (Area 1)-R2 -(Area 1)- R3 일때 Area 1을 Totaly-Stub 하는 법
R1(config-router)# area 1 stub
R2(config-router)# area 1 stub no-summary -> no-summary를 붙인다.
NSSA Stub ?
Not-So-Stubby-Areas 일반 Stub에 ASBR을 포함하는 특징을 가진다.
Area내부에 ASBR이 있을 때, 외부 네트워크 정보가 Type7-LSA로 광고가 된다.
R1(config-router)# area 1 nssa
R2(config-router)# area 1 nssa default-infrormation-originate
stub과 같이 Totally가 있다.
R1(config-router)# area 1 nssa
R2(config-router)# area 1 nssa no-summary
'경기도 미래기술학교 클라우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릿지 모드 & NAT 모드 (0) | 2023.06.09 |
---|---|
스위치 VLAN (0) | 2023.06.09 |
Hub & Spoke (0) | 2023.06.08 |
OSPF Area 실습 가이드 (0) | 2023.06.08 |
프레임 릴레이 Frame Relay (1) | 2023.06.07 |